Today I Learned/Network3 [Network] 허브와 스위치, 브리지 허브허브는 멀티포트 리피터라고도 불린다. 영어로는 Multiport Repeater로, 나눠서 의미를 분석하면 많은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, 리피터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. 리피터란 받은 데이터를 재전송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, 의미를 합쳐 생각하면 한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 나머지 포트에 전송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. 허브의 종류허브의 종류로는 인텔리전트 허브와 더미 허브로 나눌 수 있는데, 이 두 가지 허브의 가장 큰 차이는NMS(네트워크 관리 시스템)으로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한가 ?이다. 인텔리전트 허브는 NMS로 허브의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. 반대로 더미 허브는 NMS를 관리가 불가능한 허브이다. 이 두 가지 허브 말고도 세미 더미 허브 라는 허브가 존재한다. 이 허브는 혼자 연.. 2025. 3. 29. [Network] MAC Address MAC Address- 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의 약자 - 네트워크 장비에 할당되는 식별자 (주소)- 48bit로 이루어짐 (16진수 12개)- IP Address를 통한 통신도 MAC Address로 변환하는 과정 필요 -> 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 ex) 00-60-97-8F-4F-86 - 앞 6자: 제조사 (Organizational Unique Identifier)- 뒤 6자: 시리얼 넘버 (Host Identifier) ARP 과정1.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대상 PC(IP 주소)가 있는지 확인2-1. 있다면 대상과 통신2-2. 없다면 라우터에게 대상 IP 주소(통신 요청할 대상)와 라우터 MAC 주소(응답 받을 대상)를 전송3. 라우.. 2025. 3. 24. [Network] Ethernet과 TokenRing Ethernet이란 ?- 네트워킹의 한 방식- CSMA/CD 프로토콜 사용 CSMA/CD 프로토콜이란 ?-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/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-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PC끼리 통신하는 방법-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모든 PC가 조건 없이 데이터 전송이 허가됨 CSMA/CD 프로토콜의 통신 과정1. 통신 중인 PC가 있는지 확인 (Carrier Sense)2-1. 있을 경우 대기, 종료 후 데이터 시도 진행2-2. 없을 경우 데이터 전송 시도 후 통신3. 만약 동시에 2개 이상의 PC가 데이터 전송 시도를 했을 경우 (Multiple Access) 충돌 (Collsion)이 일어남4. 충돌 감지 (Collision Detection) 후 각 P.. 2025. 3. 24. 이전 1 다음